* 큐(queue) 란 ?

- FIFO(First In Fisrt Out)

- 편하게 생각해보면 맛집에 줄 서있는 사람들을 떠올리면 될것이다.

  (먼저 줄을 선 사람 순서대로 식당에 들어간다.)

- 그외에 번호표, 버퍼(buffer) 도 같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

 

 

* 큐의 연산

- 삽입, 삭제, 비어있는지 확인, 맨 앞 (front) 확인,끝(rear) 확인 크기 등의 연산이 있다.

 

- 객체 : 선입선출(FIFO)의 접근 방법을 유지하는 요소들의 모임

   연산 : enqueue(x)

           dequeue()

           front()              

           rear()

           peek() -> front에 위치한 데이터 확인

           empty()

 

- 시간 복잡도: (배열을 통한 구현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enqueue의 경우 배열 맨 끝에 추가하면 됩니다. O(1)

                   dequeue의 경우 배열의 앞에서 빼고 다른 요소들을 모두 하나씩 당기는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O(n)

                                         (이경우 front는 무조건 index가 0일 것이므로 따로 index변수를 관리 할 필요가 없겠죠)

                                         배열의 앞에서 빼고 front index를 따로 관리하여 +1만 해주는 경우 O(1) - 효율적

                   그 외 front(), rear(), peek() 등의 연산들은 index를 관리해줄 경우 모두 O(1) 타임 이겠죠?

 

* 큐 구현상의 문제점

                   만약 index를( 따로 front와 rear 를 가리키는) 관리해주는 방식으로  (효율적)

                   그럴 경우 배열의 크기는 정해져 있다는 것을 생각 해보면 계속 enqueue와 dequeue 작업을 수행하면

                   계속 뒤로 밀려지게 되다가 결국 배열의 크기를 넘어 가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될 것 입니다.

                   이 때는 환형 배열을 이용 하면 이 방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료가 많아서 배열을 모두 채울경우 배열의 크기를 두배로 늘려서 다시 모든 요소들을 새로운

                   큰 크기의 배열로 옮겨주고 수행해야 하는 경우 enqueue 는 O(n) 타임이 걸릴 것입니다.

                   만약 연결리스트(링크드 리스트)로 구현할 경우 이러한 문제는 해결 할 수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링크드 리스트로 구현할 경우 코드상의 즉 런타임시간에 동적할당을 자주 해야 할것이고

                   이로인해 성능이 배열을 통해 구현한 순환큐 보다는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큐(자료)의 크기가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할 경우 배열을 통한 순환큐가 

                   더 적절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큐 활용의 예

(큐의 특성을 생각해본다면 매우 많겠죠???)

- 프린트기

- 너비우선탐색(bfs)

- 은행업무

- 그외 등등

 

* 큐의 구현

< 배열 이용한 구현>

 

'학부생 공부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 (Tree)  (0) 2020.10.14
그래프 (Graph)  (0) 2020.05.03
벡터(Vector)  (0) 2020.02.15
스택 (Stack)  (0) 2020.02.13
Linked Lists (싱글 링크드리스트 구현 포함)  (0) 2019.12.31

링크드 리스트는 노드의 sequence로 구성된 data structure 이다.

 

즉 노드들이 선형적으로 순서화된 형태의 집합체 이다.

 

싱글링크드 리스트의 경우 각 노드 들은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next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론 자신의 자료도 저장하고 있다.

 

싱글 링크드 리스트의 경우  처음노드와 마지막 노드 를 가리키는 head와 tail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링크드리스트는 고정된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노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함으로써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정 할 수 있다.

 

밑의 내가 구현한 싱크드 리스트의 코드의 경우  tail에 삽입 삭제를 하게끔 설정하고 구현하였는데

 

싱글 링크드 리스트의 경우 prev를 가리키는 포인터가 없으므로

 

tail에서 삭제하기 위해서 새로운 임시 포인터 tmp를 선언한후 head부터 차례대로 따라가서 tail의 바로 앞

 

노드를 찾아서 삭제하게끔 구현 하였다 ( O(n) 시간이 걸리겠죵?)

 

삽입은 O(1)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학부생 공부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 (Tree)  (0) 2020.10.14
그래프 (Graph)  (0) 2020.05.03
벡터(Vector)  (0) 2020.02.15
큐(queue)  (0) 2020.02.14
스택 (Stack)  (0) 2020.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