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택이란 ?
- LIFO(Last In First Out)
- 떠올리기 쉬운것은 주방에 쌓여있는 식기를 놓으면 좋다.
- 설거지를 해서 위에 쌓으면 사용을 할 때는 위에서 부터 하나씩 가지고 간다.
* 스택의 연산
- 삽입, 삭제, 비어있는지 확인, 상단 확인, 크기 등의 연산이 있다.
- 객체 : 후입선출(LIFO)의 접근 방법을 유지하는 요소들의 모임
연산 : push(x)
pop()
size()
peek() -> 스택 상단에 위치한 요소를 반환(봄) (스택이 비어있지 않으면)
시간복잡도 : size()를 제외하고는 모드 O(1)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size()는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배열이나 연결리스트)
- 말이 나와서 하는 것이지만 추상자료형 (Abstract Data Type)은 사실 어떻게 구현하느냐는 사용자는 알 수 없습니다.
제가 배웠던 것을 항상 떠올릴 때는 문 밖에서 어떠한 입력을 넣고 요구를 하면 안에서는 어떤식이던지 구현을 하여
정확한 결과만을 문 밖으로 다시 보내주는 것 입니다. 사용자는 결과를 받지만 내부에 어떤식으로 이를 처리 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요
* 스택 활용의 예
- 문서나 그림, 수식 등의 편집기에서 되돌리기 기능
(최근 사용했던것 부터 다시 되돌리기를 합니다. -스택을 사용하면 편하겠죠????)
- 함수 호출에서 복귀주소 를 기억 할 때
(예를 들면, main 함수에서 작업을 수행하다가 다른 함수를 호출해서 그 함수로 이동한다고 하면
그 함수가 끝나고 났을 때 다시 main 함수로 돌아와서 그 다음 작업을 진행 하여야 합니다.
그럼 그때 복귀주소를 스택에 넣어 놓습니다.)
- main에서 function A를 호출하고 function A에서 function B 를 호출 한다고 가정을 한다면????
(스택에 우선 main으로 돌아오기 위한 복귀 주소가 먼저 push될 것입니다. 그다음 function A로 가고
function B가 수행될 때 function A로 돌아오기 위한 복귀 주소가 그 위에 삽입 될 것 입니다.
function B가 끝나면 스택에서 맨위 (TOP)을 pop해서 function A 나머지를 수행하고 다시 POP 을
하면 main함수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 스택의 구현
- 1. 배열을 이용
- 2. 연결리스트를 이용
직접 구현은 하지 않았지만 연결리스트를 사용하면 처음에 스택 사이즈를 지정 해 줄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배열을 이용해서 연결리스트 처럼 구현을 하려면 사이즈를 넘어 갈경우 max사이즈를 두배로 증가시켜서
다시 배열을 만들고 모든 요소들을 새로운 배열로 이동시키고 원래 배열을 delete 시키고 하는 그런 복잡한
작업을 해야할 것 입니다.
'학부생 공부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 (Tree) (0) | 2020.10.14 |
---|---|
그래프 (Graph) (0) | 2020.05.03 |
벡터(Vector) (0) | 2020.02.15 |
큐(queue) (0) | 2020.02.14 |
Linked Lists (싱글 링크드리스트 구현 포함) (0) | 2019.12.31 |